Network

네트워크) 회선 교환망, 패킷 교환망

로픽 2015. 11. 10. 07:00
300x250

네트워크 - 회선 교환망, 패킷 교환망

 

데이터 전송방식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 전송방식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도 다르다


회선 교환망(Circuit Switched Network)

 

- 통신 전에 물리적인 연결로 전용 통신 선로를 설정하여 통신이 끝날 때까지 연결을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방식 대표적인 회선 교환망 - 전화망

 

-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없으며, 전송 중 경로가 바꿔지 않는다, 지연시간이 크다

 

- 접속에 상대적으로 긴 시간이 필요하고, 다른 통신 시도를 고려할 필요가 없어 전송지연이 거의 없다


패킷 교환망(Packet Switched Network)

 

- 최근의 네트워크는 대부분 패킷 교환망이다

 

- 전송하고자 하는 정보를 패킷이라는 작은 단위로 나눈다

 

- 패킷마다 발신지와 수신지의 주소를 넣어 패킷 교환망에 보내면 패킷교환기가 그 주소를 보고 최종목적지까지 전달한다

 

**회선교환망과 달리 통신 경로가 통신 시에 확정되지 않는다

 

**패킷 교환기는 다름 아닌 라우터이다


셀 교환망(Cell Switched Network)

 

- 망 내에서는 프로토콜을 간략화하여 데이터를 셀이라고 부르는 패킷 단위로 전송한다

 

- 회선 교환과 같은 고속성을 실현할 수 있다 ATM은 셀교환망의 대표적인 셀교환망의 대표적인 형태로 헤더 5바이트 데이터 48바이트로 구성

 

- 셀은 전송에 필요한 최소 기능만을 담당한다

 


위상(topology - 토폴로지)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버스형(bus topology)

 

- 통신 회선 하나를 모든 노드가 공유한다(스위칭 허브가 아닌 일반 허브)

 

- 버스형 네트워크에서는 한 노드에서 전송한 메시지가 모든 노드에 전달(broadcast)된다

 

- 노드가 많아지면 노드 간 통신 시 충돌로 인해 속도가 급격히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스타형(star topology)

 

- 중앙 제어 노드가 통신의 모든 제어를 관리한다(스위칭 허브)

 

- 노드간의 데이터가 다른 노드에 전달되지 않으며, 중앙 네트워크가 모든 성능을 좌우한다

 

- 중앙 제어 노드가 작동을 못하면 네트워크가 정지되는 단점이 있다


링형(ring topology)

 

- 토큰 네트워크라고도 부른다

 

- 네트워크의 한 노드에라도 이상이 생기면 통신망이 정지되는 단점

 

- 토큰을 받아야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에서 지연 시간이 발생한다


허브/트리형(hub/tree topology)

 

- 여러 개를 계층적으로 연결한 형태

300x250

규모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

 

LAN(Local Area Network)

 

- 일반적으로 300m이하의 통신 회선으로 연결된 pc메인 프레임과 워크스테이션의 집합


MAN

 

- LAN을 고속의 백본으로 묶은 형태


WAN

 

-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로 지방과 지방, 국가와 국가, 대륙과 대륙처럼 지리적으로 완전하게 떨어진 장거리 지역 사이를 연결한다


프로토콜의 개념

 

- 컴퓨터와 컴퓨터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하는 과정

 

* 컴퓨터가 메시지를 전달하고, 메시지가 제대로 도착했는지 확인하며, 메시지가 제대로 도착하지 않으면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일련의 방법


프로토콜의 3요소

 

- 구문(syntax): 데이터의 형식이나 신호로, 부호화 방법 등을 정의

 

- 의미(semantics): 오류제어, 동기제어, 흐름제어 같은 각종 제어 절차에 관한 제어 정보를 정의

 

- 순서(timing): 송/수신자 간 혹은 양단의 통신 시스템과 망 사이의 통신 속도나 순서등을 정의


프로토콜의기능

 

- 주소설정

 

한 개체가 상대 개체에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상대의 이름을 알아야 하는데, 프로토콜에는 각 전송 계층에 맞는 주소를 지정하는 기능이 있다

 

정상이 아닌 변조된 주소 값을 지닌 패킷을 보내면 네트워크나 시스템에 혼란을 줄 수 있다


- 순서제어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PDU:Protocol Data Unit) - 일정 크기의 데이터 블록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가 전송될 때 보내지는 순서를 명시하는 기능, 연결 지향형에만 사용

 

순서를 지정하는 이유는 전달, 흐름제어, 오류제어 등을 위해서 순서가 정해진 각 PDU를 상대 개체에 보내면 수신측에서 순서에 맞게 데이터를 재구성한다

 

해커는 순서가 뒤죽박죽된 패킷을 생성하여 보내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리게 하기도 한다


- 데이터 대열의 단편화 및 재조합

 

대용량 파일은 한 번에 전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송 효율이 높은 작은 단위로 나누고(단편화),이를 전송받는 시스템에서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하기 위해 재조합하게 한다

 

해커는 데이터 분할 기능을 이용해 대량의 패킷을 공격대상에 보내기도 하고, 재조합이 불가능한 데이터를 보내 공격 대상을 혼란에 빠뜨리기도 한다


-캡슐화(Encapsulation)

 

PDU는 SDU(Service data unit)+PCI(procotol control information)로 구성되어 있다

 

SDU는 전송하려는 데이터, PCI는 제어 정보(송신자와 수신자 주소, 오류검출코드, 프로토콜 제어 정보)등이 있다

 

**어떤 네트워크를 통과하기 위해 전송하려는 데이터를 다른 무언가로 감싸서 보내고 해당 네트워크를 통과하면 감싼 부분을 다시 벗겨내어 전송하는 기능

 

해커로 부터 자신의 통신 내용을 숨길 수 있게 해준다

반응형